
한국무역협회가 20일 발표한 'USMCA의 자동차 원산지 규정과 북미 자동차 제조 공급망의 변화'에 따르면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새 북미자유무역협정을 통해 자국 내 자동차 산업 신규 투자와 생산, 고용을 늘려 자동차 산업의 재도약을 계획하고 있다.
미국은 주요 자동차 소재부품의 58.6%를 역외에서 수입하는데 이는 멕시코(42.9%)와 캐나다(28.4%)보다 높다.
최근에는 핵심 부품 수입도 증가하면서 자동차와 관련 산업 생산기반과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갖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USMCA에 따라 자동차 수출 때 무관세를 적용받으려면 역내(미국·멕시코·캐나다 내) 생산 부품 비중을 기존 62.5%에서 핵심부품의 경우 75%까지 늘려야 한다.
또한 자동차 부품의 40%는 시간당 16달러 이상 임금을 받는 노동자가 만든 부품이어야 한다.
차체와 섀시 프레임에 사용되는 철강·알루미늄의 북미산 사용 비중도 70% 이상이여 한다.
한마디로 관세 특혜를 받으려면 자동차 생산과정에서 필요한 주요 소재 부품을 북미지역, 특히 미국에서 더 많이 조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북미에 위치한 글로벌 자동차 및 부품 제조사들의 공급망 조정과 신규 투자계획 점검 등이 불가피하다면서 북미지역 전반적으로 역외 의존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를 쓴 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설송이 차장은 "7월 USMCA 발효를 앞두고 아직 원산지 규정 관련 통일시행규칙이 발표되지 않아 관련 업계에 상당한 혼선이 예상된다"면서 "북미에 진출한 우리 자동차·부품 제조사와 공급사들은 USMCA 동향을 면밀히 살피고, 신규 투자와 규정 준수에 따른 비용 등 복합적인 요소들을 검토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 무역대표부(USTR)는 지난달 USMCA가 7월 1일부터 발효된다고 미 의회에 통보했다.
USTR에 따르면 차량 제조사들은 7월1일까지 대처 단계별 준비계획 초안을, 8월 31일까지 최종 대처계획을 USTR에 제출해야 한다.
ⓒ차코리아닷컴뉴스 (http://chakorea.com)
▶자동차 정보 종합포털- 차코리아닷컴 바로가기
'자동차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츠코리아, 서울 강서에 인증 중고차 전시장 개장 (0) | 2020.05.20 |
---|---|
NHN페이코, `자동차 품질보증연장보험` 선보여…보험추천 라인업 강화 (0) | 2020.05.20 |
한국자동차연구원, 창원서 수소버스 충전소 실증사업…국비 100억 투입 (0) | 2020.05.20 |
현대·기아차, 4월 유럽 판매 80% 급감 (0) | 2020.05.20 |
쌍용차, 평택·창원 공장만 빼고 모든 회사부지 매각 검토 (0) | 2020.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