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바로가기
Edition: Tistory | Website
 
한국자동차공학회는 19일 서울 중구 소재 페럼타워 3층 페럼홀에서 ‘미래자동차 기술 개발의 상생 전략-자동차 시장을 주도할 선제적 대응’ 발표회를 개최했다.

한국자동차공학회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로드맵 연구위원회는 한국자동차공학회 소속 산·학·연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세계 자동차 시장 예측과 규제 및 정책 분석, 온실가스 저감과 대기질 개선을 위한 전략에대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발표회는 현장 진행과 동시에 온라인 생중계로 이뤄졌는데 강건용 한국자동차공학회 회장 인사말로 시작해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로드맵 배경 및 전망(배충식 위원장), 수소전기차 기술 분야(김민수 서울대 교수), 전기차 기술 분야(황성호 성균관대 교수), 하이브리드차 기술 분야(박영일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내연기관차 기술 분야(이기형 한양대 교수), 세계정책동향과 LCA분석(민경덕 서울대 교수) 등으로 진행됐다.

배충식 한국자동차공학회 부회장(카이스트 교수)은 내연기관 차에 대한 투자를 축소하고, 전기차 보급만을 지원하면 자동차산업이 위기를 맞을 수 있다며 내연기관·하이브리드·전기·수소전기 등 각 동력원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상생할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수 교수는 수소차 기술 분야 발표자로 나섰는데 성장 추세인 수소차 수요에 맞춰 인프라 구축과 투자 및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했다.

승용차 뿐 아니라 상용차 수소차 비중 확대에도 관심이 요구되며 중국과 독일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는 수소차 시장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라고 발표했다.

민경덕 교수는 세계정책동향을 발표했는데 유럽에서는 내년 이산화탄소 규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보다는 전기차 판매가 급증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평균 30%가량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관련 규제가 전생애주기분석 기반 규제 움직임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이와 관련된 연구와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차코리아닷컴뉴스 (http://chakorea.com)

▶자동차 정보 종합포털- 차코리아닷컴 바로가기